당뇨병 치료하다가 뜻밖의 발견

뉴비의 건강관리

당뇨병 치료하다가 뜻밖의 발견

플레이파트너 2023. 8. 11. 09:03
728x90
반응형

당뇨병 치료제인 'SGLT-2 억제제'가 비알콜성 지방간염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에 따르면, 
비알콜성 지방간염은 간에 지방이 쌓이면서 염증이 유발되는 증상을 나타냅니다. 


이로 인해 간병변이 발생할 확률이 증가하며, 
간병변이 동반되면 간암 발생 확률도 상승합니다. 
비알콜성 지방간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높으며, 
현재 승인된 치료제가 없는 상황입니다.

세브란스병원의 연구팀은 
비알콜성 지방간염을 가진 환자와 
없는 환자의 간 조직을 분석한 결과, 
비알콜성 지방간염이 있는 환자의 간에서 
당을 세포 안으로 운반하는 단백질인 'SGLT-2' 
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비알콜성 지방간염을 유발한 쥐에서도 
실제 비알콜성 지방간염을 앓는 환자와 동일한 
단백질 변화 양상이 나타났으며, 자가 포식 기능이 떨어지고 
간 염증 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자가 포식 기능이란 스스로 병든 조직과 
노폐물을 청소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연구팀은 비알콜성 지방간염을 유발한 쥐에게 
SGLT-2 억제제를 투여한 결과, 
쥐의 간에서 SGLT-2 단백질이 줄어들고, 
간세포의 자가 포식 기능이 회복되었습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증상이 완화된 것으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당뇨병 치료제인 
SGLT-2 억제제가 비알콜성 지방간염을 완화시킬 수 있는 
의학적 근거와 기전을 제시한 최초의 연구로 의미가 있습니다. 
특히 당뇨병 등 대사성 질환자들이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유병률도 상승하는데, 
이번 연구를 토대로 비알콜성 지방간염이 간경화나 
간암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하지만 연구 결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와 임상 시험이 필요하며, 
치료제 사용에는 전문 의료진의 지도를 받아야 합니다. 
비알콜성 지방간염과 당뇨병 치료에 관심이 있는 환자들은 
예방을 위해 건강한 생활습관과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간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